본문 바로가기

스키드마크2

스키드마크 사고 직전의 속력 추정과 진행방향 스키드마크의 속력을 계산하는 근거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과 속도,가속도 이론에 의해서이다.그러나 스키드마크의 시작점은 사람의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흔적을 남기면서 형성되므로 실제 나타난 흔적만을 계산하면 실제 속력보다 적은 수치의 속력이 산출됨을 유의해야 한다.스키드마크 방향에 따라 사고차량 진행방향을 추정할 수 있는데 11시, 1시 방향의 경우는 진로변경으로 추정한다 12시 방향으로 스키드마크가 난 경우는 곧바로 진행한 것으로 추정하고 12시 방향으로 진행하다.좌우로 급변한 경우는 급제동하며 피하는 중 사고가 난 것으로 간주한다. 사고차량의 사고 당시의 속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1.사고충격으로 인한 차량의 변형상태로 추정속력을 산출하는 것이다.2.최.. 2023. 3. 26.
스키드마크 종류 일반적인 스키드마크 자동차가 주행 중에 급제동을 하게 되면 바퀴의 회전이 멈추면서 타이어가 노면에 미끄러져 거의 일직선으로 자국을 남기게 되는 것. 스킵 스키드마크 스키드마크가 진했다 엷어지는 현상 차륜제동흔적이 직선(실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흔적의 중간중간이 규칙적으로 끊어져 점선과 같이 보이는 흔적이다. 연속적인 제동흔적으로 파악하여 스키드마크와 같이 흔적 전 길이를 속도산출에 적용한다. 타이어 흔적은 크게 3가지 요인(제동 중 바운싱, 노면상의 융기물 또는 구멍, 충돌)에 의해 만들어진다. 캡 스키드마크 이격거리가 형성된 현상을 가리킨다. 스키드마크의 중간부분(통상 3M 내외)이 끊어지면서 나타난다. 운전자가 전방의 위급상황을 발견하고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자동차의 바퀴가 회전을 멈춘 상태로 노면에 .. 2023.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