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충돌1 유효충돌속도 공통속도 속도가 V1인 A차와 속도가 V2인 B차가 정면충돌 또는 정면추돌하면 양차량은 서로 운동량을 교환하면서 찌그러짐을 동반하게 된다. 이렇게 충돌에 의해 맞물린 양차량은 도중에 속도가 같아지는 시점에서 일체가 되어 운동량이 큰 차량이 상대적으로 운동량이 작은 차량을 밀고 진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최초 충돌 후 양차의 속도가 같아지는 시점을 공통속도시점이라고 하고 이 공통속도 시점에서 양차량은 서로 운동량의 교환을 완료하기 때문에 차량 변형도 일반적으로 이 시점에서 거의 종료된다. 유효충돌속도가 클수록 차량의 변형량도 증가한다. 차체는 충격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는 소성변형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효충돌속도가 클수록 차량의 변형량도 증가한다. 동일한 유효충돌속도에서 찌그러짐의 정도는 차체의 .. 2023. 4.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