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의 목적
교통사고의 경감과 교통안전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통사고분석을 위한 자료를 갖추어야 한다
사고조사 시 유의사항
사고조사는 사고발생 직후 그 현장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사에 앞서 사고발생직후의 상황을 보존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 즉 교통차단, 교통정리, 사고당사자 및 목격자를 확보해야 한다.충돌지점, 당사자 및 당사 차량의 정지위치와 상태, 사고조사에 필요한 물건 등의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줄자, 필기구, 사진기 등을 사용한다.사고로 인한 부상자의 구호, 조사로 인해 교통지체 및 그로 인한 연쇄적으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사고조사단계
1단계 : 대량의 사고자료, 즉 주로 경찰의 통상적인 사고보고에 기초하여 수집한 자료의 분석과 관계된다. 이 자료를 조사함으로써 도로망 상의 문제지점이 밝혀질 수 있으며 특정지점이나 일련의 지점들에 걸쳐 광범위한 특성이 설정될 수 있다.2단계 : 보완적 자료, 즉 경찰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수집되지 않는 자료의 수집 및 분석과 관련된다. 보완적 자료는 특정유형의 사고, 특정유형의 도로사용자 또는 특정유형의 차량과 관련된 것들을 포함한 특정사고 문제의 보다 나은 이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3단계 : 사고현장과 다방면의 전문가에 의해 수집된 심층자료의 분석을 요구하는 심층 다방면조사와 관련된다. 그 목적은 충돌 전, 충돌 중 및 충돌 후 상황에 관련된 인자 및 얼개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조사팀은 의학, 인간공학, 차량공학, 도로 또는 교통공학, 경찰 등 일련의 전문분야로부터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