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로교통사고 감정사

중앙선 침범

by depi77 2023. 3. 19.
반응형

중앙선 침범사고

중앙선 침범이란 차선의 중앙에 그어진 실선을 넘어서는 행위를 말합니다.이는 도로교통법 제35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중앙선 침범은 위반금과 함께 면허 취소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운전자들이 중앙선을 침범하는 이유로는, 앞 차량이 느리게 가서 추월을 하려는 상황이나, 불법적인 좌회전 및 유턴 시도 등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중앙선 침범이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중앙선의 정의는 차선을 명확히 구별하기 위한 황색실선이나 황색점선 등의 안전표지로 설치한 선 또는 중앙분리대, 철책, 울타리 등으로 설치한 시설물을 말합니다.따라서, 중앙선을 침범하여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통안전에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도로교통법 제30조는 중앙선 침범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는 몇 가지 예외사항이 있습니다.우선,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54조는 중앙선 침범이 허용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안전하게 중앙선을 침범하여 반대방향의 차량이나 보행자와 충돌을 피하기 위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교통 상황에 따라 중앙선 침범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또한, 도로교통법 제31조에 따르면, 특별한 사유로 인해 중앙선 침범이 필요한 경우에는 지방경찰청장이 허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허가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그 내용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앙선 침범이 위반사항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따라서, 중앙선 침범을 하게 될 경우 벌금이나 면허 취소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앙선 침범 예외사유

도로교통법 제13조 제4항에 따르면, 중앙선 침범이 허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도로가 일방통행인 경우나 도로의 파손, 도로공사나 그 밖의 장애 등으로 도로의 우측 부분을 통행할 수 없는 경우 중앙선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중앙선이 지워지거나 눈, 진흙 등으로 보이지 아니할 때 역시 중앙선 침범으로 보지 않습니다.상황에 따라 중앙선을 넘은 차량이 100% 과실이 아닐 수 있으며, 중앙선을 넘지 않은 상대방 차량에게도 책임이 있어 과실 비율이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따라서, 중앙선 침범이 허용되는 예외적인 상황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과실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도로교통사고 감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자동차  (0) 2023.03.21
벌점  (0) 2023.03.20
자전거의 통행방법  (0) 2023.03.18
12대 중과실사고 음주  (0) 2023.03.18
12대 중과실사고 과속  (0) 2023.03.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