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사고 감정사56 신호등 없는 교차로사고 신호등 없는 교차로 통행방법 교차로 진입 전에 일시정지 또는 서행해야 한다. 교차로 진입 전 좌우를 예의주시하여 교통사항을 파악 후 진입한다. 통행우선순위에 따라 진입한다. 동시 진입 시 통행 우선순위차(도로교통법 제26조) 선진입 차량 우선(도로교통법 제25조 제6항, 제26조 제1항) 동시 진입 시, 넓은 도로에서 진입한 차 우선(도로교통법 제26조 제2항) 동시 진입 시, 우측도로에서 진입하는 차 우선(도로교통법 제26조 제3항) 우측 도로와 넓은 도로의 경우, 넓은 도로 우선(도로교통법 제26조 제2항) 동시 진입 시, 직진차가 좌회전 차량보다 우선(도로교통법 제26조 제4항) 동시 진입 시, 우회전차가 좌회전 차보다 우선(도로교통법 제26조 제4항) 사고조사 교차로 진입 전 일시정지 또는 서행여.. 2023. 4. 8. 자동차 충돌 운동의 법칙 관성의 법칙 운동의 제1법칙이라고도 한다. 뉴턴(Newton)은 갈릴레오(Galileo)의 생각을 정리하여 제1법칙을 만들고 관성법칙이라고 불렀다. 모든 물체는 관성을 갖는다. 관성은 질량(물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양)에 관계된다. 물체의 질량이 크면 클수록 관성도 커진다. 관성을 알려면 물체를 앞뒤로 흔들어 보거나 적당히 움직여서 어느 것이 움직이기 더 힘든지, 즉 운동에 변화를 가져오는데 어느 것이 저항이 더 큰지를 알아볼 수 있다. 이것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든 물체는 자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정지한 물체는 영원히 정지한 채로 있으려고 하며 운동하던 물체는 등속 직선운동을 계속하려고 한다. 달리던 버스가 급정거하면 앞으로 넘어지거나 브레이크를 급히 밟아도.. 2023. 4. 7. 유효충돌속도 공통속도 속도가 V1인 A차와 속도가 V2인 B차가 정면충돌 또는 정면추돌하면 양차량은 서로 운동량을 교환하면서 찌그러짐을 동반하게 된다. 이렇게 충돌에 의해 맞물린 양차량은 도중에 속도가 같아지는 시점에서 일체가 되어 운동량이 큰 차량이 상대적으로 운동량이 작은 차량을 밀고 진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최초 충돌 후 양차의 속도가 같아지는 시점을 공통속도시점이라고 하고 이 공통속도 시점에서 양차량은 서로 운동량의 교환을 완료하기 때문에 차량 변형도 일반적으로 이 시점에서 거의 종료된다. 유효충돌속도가 클수록 차량의 변형량도 증가한다. 차체는 충격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는 소성변형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효충돌속도가 클수록 차량의 변형량도 증가한다. 동일한 유효충돌속도에서 찌그러짐의 정도는 차체의 .. 2023. 4. 7. 자동차 충돌 흔적 강타한 흔적 직접손상 흔적만을 파악한 정도를 가지고는 충돌한 상대차량의 부위를 관련시켜 차의 자세를 나타내주지 못하는 수가 많으므로 부서진 부위에서 특정표시(자국)를 찾아야 한다. 가장 유용한 자국은 강타한 물체의 모습이 찍힌 것이나 표면의 재질이 벗겨진 것이다. 희미한 자국은 발견하지 못하고 그냥 지나치기 쉬우므로 유의해야 한다. 충돌차량끼리의 접촉부위를 나타내주는 손상물질로서는 대개 페인트 흔적과 타이어의 고무조각, 보행자의 옷에서 떨어져 나온 직물 및 피해자의 머리카락, 혈흔 그리고 나무껍질이 나 길가의 흙을 비롯한 그 밖의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이것은 때로 유리조각이나 장식일 수도 있다. 접촉하고 있는 동안의 움직임은 종종 모습이 찍힌 것이나 재질의 벗겨짐에 의해 나타난다. 강타한 자국은 두 접.. 2023. 4. 6.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