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로교통사고 감정사56

교통사고 역과손상 역과 손상 지상에 전도된 후 충격을 가한 차량이나 제2, 제3차량에 의하여 역과 될 수 있다. 역과 손상은 바퀴와 차량의 하부구조에 의한다. 바퀴에 의하여 여과되었을 때, 항상 그렇지는 않으나 매우 심각한 손상이 일어난다. 즉, 바퀴와 접촉된 부분에는 바퀴흔을, 그 하방의 골격 또는 실질장기는 차량의 무게에 의한 손상을, 지면에 닿아 있는 반대편 피부에서는 지면과 마찰되어 생긴 손상을 본다. 어린이는 골격의 탄력성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골절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바퀴흔 바퀴가 인체를 역과 하면 차의 중량이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바퀴의 모양이 체표면에 피하출혈 또는 표피박탈로 인상될 때가 있는데 이를 바퀴흔(Tire Mark)이라고 한다. 바퀴흔은 차량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잘 생기며 가벼울 때에는 안.. 2023. 3. 31.
교통사고 인체손상 인체손상의 해석 자동차사고는 그 발생과정으로 보아 차량과 차량의 충돌, 차량과 다른 물체와의 충돌, 그리고 차량과 사람의 충돌 또는 역과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때 그 방향과 위치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제일 먼저 차체와 충돌되어 생긴 손상을 제1차 충돌손상이라 하고.제1차 충돌손상 후 신체가 차체에 부딪히거나 또는 땅에 쓰러져 생기는 손상을 제2차 충돌손상(Secondary Impact Injury)이라고 한다. 피해자가 대지에 부딪히거나 차체에 충돌 후 공중에 날렸다가 대지에 떨어지는 손상을 제3차 충돌손상(Tertiary Impact Injury) 또는 전도손상(Overturn Injury)이라고 하며, 차량에 역과 되어서 발생되는 손상을 역과 손상(Runover Injury)이라고 한다. 보.. 2023. 3. 31.
인적조사 사고당사자 조사 기상조건, 노면조건, 일광조건, 시계, 가변성 장애물, 섬광(눈부심) 등에 대하여 질문을 해야 한다. 사고 당시 시간대에 운전자가 시설물 등의 인지상태, 즉 태양에 의하여 신호등 및 기타 교통통제시설, 장애물 등의 인지에 방해를 받았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사고차량의 속도(감. 가속상태), 충돌위치, 운전자의 위험인지 예상 상태, 핸들 조향 여부 등 목격자 조사 차량 동승자나 제삼자인 목격자를 말한다. 사고 현장에 목격자가 있을 때는 즉석에서 그 주소, 성명, 직업, 전화번호 등을 확인하고 인터뷰 조사에 협조를 의뢰한다. 목격자는 가능한 다수를 확보하여야 한다. 사고 당시 목격자가 사고차량을 목격한 위치에 대하여 질문한다. 사고차량의 충돌 후 최종 정지위치에 대하여 질문한다. 사고차량 및 .. 2023. 3. 31.
사고현장 기록 사고현장 사진촬영의 필요성 교통사고 분석 시 사고현장기억의 단서가 된다. 현장조사분석의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 법적 증거자료이다. 항구적 보관능력과 증거가 불변성이다. 가장 용이한 증거보전방법이다. 사고상황의 진실성을 증명하는 데 용이하다. 사고조사 시 흥분과 혼잡으로 누락된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자신이 관찰한 사항을 기억하기가 용이하고 타인에게 쉽게 사고의 상황설명을 할 때도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사진촬영의 시기 원칙적으로는 사고현장에 아무 변화가 일어나기 전에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황이 변하여 그 사진이 진실을 빠뜨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고현장에 도착한 즉시 촬영을 하여야 한다. 촬영은 상황 긴급성에 따르고 오래 보존되지 않는 증거를 먼저 촬영한다. 일단.. 2023. 3. 31.